北 휴대전화 '모종의 거래'가 있다
AD 함흥  

 

이미지
북한은 휴대전화 가입 절차가 굉장히 까다롭다. 북한의 일반 주민이 휴대전화를 사용하려면 주요도시의 통신기술운영사무소나 도시 지점을 방문하여 지원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 마저도 사무소에 지인이 없으면 직원에게 별도의 처리비용을 외화로 지불해야 한다.
지원서 작성 이후에는 지방행정사무소에서 승인 도장을 받고, 지정된 보위부에서도 사용 목적에 대해 타당한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가입 절차에서 담당자는 일부러 가입 기간을 늦추고 뇌물을 받기 일쑤다.
심사는 거의 한 달 이상 소요된다. 가입자가 많지 않았을 때는 지역에서 가입 절차가 마무리 됐지만, 최근에는 지원서가 평양 교통부까지 제출되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모든 절차가 끝나야 비로소 휴대전화를 받을 수 있다.
가입이 워낙 까다로워서 보위부에 막대한 뇌물을 주고 휴대전화를 받는 경우가 많다. 보위부와 연결되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중개업자를 이용해서 가입을 하는데, 이렇게되면 길어도 일주일 이내 휴대전화를 받을 수 있다.
중개업자들은 적절한 선에서 휴대전화를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모종의 거래가 뒤따른다.
탈북민 이흥민 씨는 "중개업자는 휴대전화를 조선체신회사에서 제공하는 것보다 저렴하게 파는 대신 각종 명의를 요구한다. 휴대전화를 살 능력이 되지 않는 주민들의 명의를 빌려 가짜 명의로 등록해놓기 위해서다. 중개업자들은 그렇게 등록해놓은 명의로 다른 사람에게 휴대전화를 더 비싼 값으로 팔기도 한다. 대개 밀수꾼들이 이런 휴대전화를 산다. 감시가 붙어도 위험이 적어지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국경지대 휴대전화 단속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이 씨는 "국경지대에서 휴대전화가 빈번히 사용된다는 것은 대부분 밀수 혹은 탈북자가 강을 건너기 위해서다. 북한 당국도 이를 잘 알기 때문에 국경지대 휴대전화를 도청하기도 한다. 하지만 명의가 제대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 검거를 시도하면 내륙 지방으로 찾아가는 헤프닝이 일어나기도 한다. 간혹, 죄가 없는 사람이 벌을 받는 일도 있다. 함부로 명의를 빌려주면 안되지만, 북한에서는 아직 그런 개념 자체가 확실하지 못한 탓이다"고 설명했다.
최근 북-중 국경간 중개업자들은 중국에서 들여온 최신 스마트 기기를 보급하는 추세다. 전화같은 경우 도청이 되지만, 중국에서 가입해 들여온 스마트 기기의 경우 메신저를 이용하면 단속 확률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이유에서다. 그만큼 비싼 값으로 팔리고 있지만, 인기가 좋은 것도 사실이다.
이 씨는 "북한의 휴대전화 보급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중 명의만 빌려준 사람이 많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럼에도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북한의 휴대전화 보급률이 높아질수록 북한 내 변화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일반 주민들의 휴대전화 보급을 조절하고 차단하는 북한 정권이지만, 추세는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이트온 쪽지보내기